민족의 영산 백두산(白頭山)과 태극기 (황토 혼합재료 8호F)
태극기의 의미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 4괘(4개)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백의 민족의 순결성과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낸다.
태극기의 태극 문양
음괴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 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태극기의 건곤감리
네 모서리의 4괘(4개)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건(乾) 괘,는 하늘과 봄,동쪽, 인(仁)
2) 곤(坤) 괘,는 땅과 여름, 서쪽, 의(義)
3) 감(坎) 괘,는 태양과 가을, 남쪽, 예(禮)
4) 리(離)괘,는 달과 겨울, 북쪽, 지(䝷)
태극 문양 태두리의 평면은 천연 돌가루를 오브제로 조합하여 장엄하고
신비러운 白頭山 天地와 영혼을 담은 귀한 石彩畵의 입체적인 現代美術 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석채화의 유래와 기법
중국의 石山엔 다양한 컬러의 보석이 많아
약 400년 전부터 보석을 곱게 갈아서 재료기법로 썼으며
자연이 만든 천연컬러는 수천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신비러운 색깔이라 하여
"보석화" 또는 "만년화" 라 부르기도 했다.
현재는 이 귀한 보석을 작품의 재료로 쓰기가 어렵기 때문에
환경ㅡ친화적인 돌가루와 흙을 자연에서 직접 채취하여
캔버스 위에 원하는 질감을 만든 다음 물감으로 그리는 기법이
오늘날 400년 전의 신비한 "보석화" 만년화" 의 기법을 다양하게
이어오는 장르이기도 하다.
오래전 원시시대 때,,ㅡ
황토는 동굴속의 벽화 채색으로도 쓰여졌다.
친환경적인 재료를 직접 채집한다.
"영원한 삶의 환타지아를 꿈꾸는 홍원 도소정화백의 작품세계...
인간은 끝없는 행복에 관한 환타지아, 완전한 사랑에 대한 환타지아,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영원성에 대한 환타지아 그리고
절대미의 세계에 대한 환타지아를 갈구한다. 그것은 모든 예술가의
존재 이유이기도 하고 고흐와 고갱 그리고 이중섭같은 화가의 주요
표현 주제이기도 했다.인간이 가지는 한계로 규정되어지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그리고 족쇄와 같은 삶의 구속을 환타지아로 초월하려는 시도가
예술사를 살펴 볼 때 끊임없이 지속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술가들은 행복의 원형, 진정한 사랑의 원형, 절대미의 원형,
인간과 삶의 순수한 원형을 찾고자 한다.
석채화 화가로 유명한 홍원의 작품 세계에는 바로 원형탐구와
신화세계에 대한 신과 인간과 사물의 생명 본질적 요소들에 대해
세상적 시각과 가치를 해체하고 폄하 하는 것이 아닌
수용적 승화를 통한 초월의 환타지아를 표현한다.
붉음과 푸름 그리고 순백의 색상이 주는 에너지와 토양입자들이
주는 질감과 입체감을 통해 때로는 신비스럽고 때로는 몽환적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손에 잡힐 듯 세속적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그의 작품세계가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러므로 홍원 도소정
화가의 작업은 과거를 초월하고 현실을 수용하고 진취적 미래를 그림
작업을 통해 그리고 신과 인간이 공존하고,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며,
생물과 무생물, 물질과 비물질의 구분적 차별이 아닌 융합과 하모니를 통해
파라다이스적 환타지아를 우리에게 보여주기 위한 도전이라 보고 싶다.
청신 빈 철 구 평논... 2014년 10월 15일
'전시회 행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자년, 칠월을 보내면서.. (0) | 2020.07.28 |
---|---|
11월 전시회 일정 (0) | 2019.11.01 |
9월 전시회 (0) | 2019.09.06 |
6월 전시회 (0) | 2019.05.29 |
4월 전시회... (0) | 2019.04.04 |